패션 8대 미의식 중 엑조틱 미의식 Part 2

엑조틱 미의식

 

엑조틱 미의식

 

 

 


4. 포클로어 감각

 

 

유래

1960년대 말 히피의 영향으로 인도,티벳의 민속의상이 주목받음. 1970년대 이브 생 로랑의 페전트풍 의상, 다카다 켄조의 포클로어 컬렉션으로 더욱 발전함.

특징

[민속학, 옛부터 전승된 문화유산] 이라는 뜻. 유럽지방의 농민, 인디안 의상 등 자연 속에서 생활하는 소박하고 전원적인 이미지 추구.

현대의 양상

보헤미안 스타일로도 발전하여, 자유로운 정신과 개성을 표현. 수공예적인 디테일과 자연스러운 소재를 활용.

대표 룩


집시(Gypsy) 룩
-집시=코카서스 인종의 갈색계통의 피부를 가진, 흑/갈색의 발모를 한 유랑민족
-프랑스어로 보헤미안
-개더나 플레어를 풍성허게 잡은 스커트
-페전트 풍의 풍성한 블라우스, 볼레로, 숄, 스카프, 커다란 귀걸이
-민속의상에 속하지만 뚜렷하게 근원지를 찾을 수 없음.

라틴(Latin) 룩
-스페인을 중심,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민속의상
-마타도어 의상은 낮, 플라멩고 갠서 의상은 밤의 파티복에 사용됨.
-블랙이 메인컬러, 노랑, 주홍, 코발트, 짙은 자주색이 조화를 이룸.

*마타도어 룩: 스페인 투우사의 복장에서 발전. 투우 시 입는 짧은 재킷인 마타도어 재킷이 대표 아이템.
*플라멩고: 화려한 주름장식이 달린 드레스가 대표적. 스커트 뒤는 길고 앞은 짧아 경사가 있고 플레어가 풍성함.

가우쵸(Gaucho) 룩
-[남미의 초원지대에 사는 스페인 사람과 인디안의 혼혈] 이라는 뜻
-소박한 자연을 동경하는 1970년대에 가우쵸에서 영감을 얻어 유행함.
-가죽 장식과 모자가 자주 사용됨.
-헐렁헐렁한 블라우스, 넓은 소매, 7부 길이의 니커보커즈, 길이 긴 부츠, 채양이 넓은 모자, 폰쵸풍의 프린치가 붙은 상의
-부츠 속에 니커보커즈(바지) 부리를 넣어입음.

노르딕(Nordic)룩
-스칸디나비아, 그린란드, 에스키모의 전통 의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쉐트랜드 스웨터, 오일 스웨터, 카우칭 스웨터, 모피로 만든 상의
-설경이나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개성적, 독특한 모양의 무늬
-수공예적인 요소와 내추럴한 색상 사용


대표 아이템


집시 룩: 화려한 컬러의 풍성한 맥시 스커트
라틴 룩: 강렬한 레드를 포인트로 한 플라멩코 드레스
가우쵸 룩: 프린지 달린 망토와 가죽 모자
노르딕 룩: 퍼 달린 모자와 패턴 니트 스웨터

*에스닉과 포클로어의 차이점
에스닉: 비기독교 문화권의 민속, 좀 더 토속적이고 원형을 유지한 상태
포클로어: 기독교 문화권, 전원적 취향의 일반적인 민속



 

 

 

5. 에스닉 감각

 

유래

60년대 포클로어 유행에 이어 80년대에 유행을 주도

특징

[인류학적, 기독교에 대한 이도교] 라는 뜻. 중동 또는 아시아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입는 패션을 의미. 도시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미개발국의 소박한 여성 이미지. 민족의상, 염색 방식, 직물, 자수 등에서 영감받음.

*페루, 아프가니스탄, 북구, 타이티, 인도, 중국, 아라비아제국의 신비성을 중시함.
*중동의 종교의상, 잉카의 기하학적 문양, 인도네시아의 바틱, 인도의 사리 등에서 영향 받음.

현대의 양상

보헤미안 스타일과 혼합되어 나타남.

대표 룩


아라비안(Arabian) 룩
-오랜 전통의 염색, 방직, 자수 기술
-기하학적인 무늬로 장식적 요소 표현
-긴 배기 팬츠, 띠가 둘러진 튜닉, 아바야 망토, 얼굴을 가리는 베일이 대표 아이템
-헐렁한 실루엣과 금색 장식이 특징

*하렘 팬츠: 아랍 여인들의 전통의상, 아라비안 나이트의 히로인 의상. 힙 부분이 풍성하고 부리가 좁음. 배꼽을 완전히 노출시키는 로우웨이스트 허리 부분부터 발목 조이는 밴드까지 부드러운 물결 곡선을 이룸. 판타지 무드를 형성.
*베두인식 의상: 낮에 입는 아라비안 룩. 온몸을 감싼 느슨하고 풍성한 형태

오리엔탈(Oriental) 룩
-한국, 일본, 중국, 홍콩, 싱가폴, 타이, 인도 등의 국가의 각기 다른 동양풍의 신비를 추구함.

*한복, 기모노, 치파오, 아오자이

인디안(Indian) 룩
-면, 린, 캘리코, 생견처럼 촉감이 산뜻하고 시원한 자연섬유를 사용.
-레드, 브라운, 골드, 옐로우, 블랙, 화이트 등 강렬하고 이국적인 컬러의 대비를 선호

*네루식 재킷: 벨보이 재킷. 스탠드 카라, 패치 포켓,  흰색 버튼다운
*사리: 튜닉드레스와 유사.
*살와르: 허리와 발목만 타이트하고 다른 부분은 헐렁한 팬츠
*카미즈: 길고 헐렁한 튜닉

차이니즈(Chinese) 룩
-중국 이미지가 강한 룩
-소재, 무늬, 색상이 특징적
-차이니즈 레드/ 블루, 골드가 메인 컬러
-형상화한 꽃, 용 자수, 로프 모양의 단추가 메인 디테일

*시노와즈리(Chinoiserie): 로코코 인테리어에서 유행한 동양풍 꽃무늬, 인물, 풍경
*치파오 드레스

아메리칸 인디안(American Indian) 룩
-1976년 다카다 겐조의 컬렉션으로 인기를 얻음.
-남미/미국/캐나다의 특별보호구역의 원주민
-소박한 의상, 장신구, 모티브(무늬)
-유니크한 배색, 헤어스타일, 헤어밴드, 깃털 장식, 모카신 슈즈, 프린지 장식, 기하학 무늬, 비즈 장식

아프리칸(African) 룩
-직선적, 최소화된 봉제, 프리미티브(원시적)
-기하학적인 도형, 프리미티브한 색채, 아프리카 특유의 문양, 핸드터치, 수공예적 느낌

*악세서리: 동물 뼈, 상아, 해골을 토테미즘(주술적) 목적으로 지님.

대표 아이템

아라비안 룩: 화려한 컬러의 실크 카프탄
오리엔탈 룩: 흰색 자수 박힌 원단으로 만든 기모노
인디안 룩: 화려한 패턴의 원단으로 만든 원피스, 인디안 무드의 악세서리
차이니즈 룩: 치파오에서 따온 디테일을 더한 레드 컬러의 자켓-팬츠 투피스
아메리칸 인디안 룩: 깃털을 가득 달아 만든 모자, 프린지가 달린 털부츠
아프리칸 룩: 화려한 패턴의 원단을 여러 방향으로 이어붙인 드레스

 

 

 

 

 

 

 

연관 포스팅

엑조틱 미의식의 활용과 문화적 윤리: 전통 문양의 현대적 해석과 문화적 존중

 

엑조틱 미의식의 활용과 문화적 윤리: 전통 문양의 현대적 해석과 문화적 존중

엑조틱 미의식 연구의 이유 엑조틱 패턴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유래한 독창적인 문양과 색채를 활용하여 시각적 차별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그러나 글로벌화가 가속되면

damidaofora.com

 

이전 포스팅

패션 8대 미의식 중 엑조틱 미의식 Part 1

 

패션 8대 미의식 중 엑조틱 미의식 Part 1

엑조틱 미의식   1. 엑조틱 감각유래19세기 유럽에서 이국적인 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에서 시작.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의 문화를 반영하며, 기존의 유럽 스타일과 대조적인 요소를 포

damidaofora.com

 

다음 포스팅

패션 8대 미의식 중 로맨틱 미의식 Part 1

 

패션 8대 미의식 중 로맨틱 미의식 Part 1

로맨틱 미의식   1. 로맨틱 감각 유래18세기 후반의 로맨티시즘(Romanticism) 예술 운동에서 유래.특징[만년 소녀] 라는 뜻. 소녀 시절의 꿈을 간직하고 살아가는 여성. 하늘하늘한 장식 요소를 통

damidaofora.com